토요미식회장
피피커피
숯로스팅이라고 딱봐도 강배전. 돈까스 광명이나 커퍼시티를 방문하러 가는 길에 지나가본 적이 있었는데 딱 봐도 내 취향의 카페는 아니라 지나 다니면서 안 들어갔었는데 언제 인기카페가 되었나보다. 남들이 좋다고 하니 혹시나 하는 생각에 들어갔는데 개인적으로는 좀 애매하다고 느꼈다.
원두는 여러종류가 있다. 색을 보니 배전도는 상당히 높은 듯 했다. 대중적인 커피 맛에 가까운 느낌.
커피는 융드립/ 핸드드립인가본데 차이를 알고 주문하고 싶어서 차이를 여쭤보니깐 들은 채도 안하고 말 싹둑 자르고 마음대로 주문을 받으려 한다. 그래서 융드립으로 주문하려하는데 물어보지도 않고 첼베사로 하겠다고 하길레 제지하고 융드립 모모라 내추럴로 주문. 카페에서 이런 주문 경험은 난생 처음인 듯 하다. 추천 메뉴도 아니고 알아서 커피 원두를? 이게 무슨 오마카세도 아니고…
굉장히 불쾌했다. 너는 딱봐도 커피1도 모르니깐 닥치고 주는 걸로 마셔라 이런 상황인건가?
그나마 여자 사장님이 카스텔라 같은 걸 서비스로 주셨고 (확실히 이 분은 친절하신 편이다.)
커피는 일단 마일드하고 산미 있는걸 고르긴 했는데 산뜻함은 아주 미약했다. 고소한게 장점이고 탄맛 없이 거슬리지 않게 무난하게 내리긴 한다. 마일드한 느낌은 확실히 있었고. 온도가 떨어지면서 산뜻함이 은은하게 올라오긴 한다. 내가 원하는 정도까지는 아니었지만. 근데 그건 이 카페의 커피 스타일이니깐. 대중적으로는 이게 훨씬 더 좋을 듯 하다.
친절할 필요는없다. 하지만 주문은 손님인 내가 하는거다. 카페 사장이 정하는 게 아니다. 맛은 무난한편. 강배전으로서 좋은 커피는 맞다. 막 맛있지는 않지만 확실하게 느껴지는 맛의 단점은 딱히 없다.
하지만 주문 시의 불쾌함으로 인해 추천하기는 매우 어렵다. 재방문의사는 당연히 없다. 다시 말하지만 주문은 내가 한다. 카페 사장이 해주는 게 아니라. 카페 사장은 좋은 메뉴를 추천까지만 해줄 수 있다. 원두를 내가 직접 고르게 시간을 준 다음에 고르지 못했을 때 추천을 해줬다면 나는 이런 내용의 리뷰를 쓰지 않았을 것이다.
뽈러버
융드립도 신기하지만 핸들링이랑 칠링작업이 진짜 투박허니 보는 재미가있흠
산미가 덜한 다크한 로스팅이 이렇게 빨리 원두가 내려지는데도 제법 강하게 느껴지는게 정말 신기하기도함.
융이 물을 빨아드리는 특성 때문에 커피 향을 빠르고 진하게 담을 수 있다고 작은 큐레이션도 해주며 23년을 이자리에 있을 수 있었던 여러 미담을 함께 해주기도한다.
최고의 튜닝은 순정이라는 말처럼, 독특한 산미나 플로럴한 원두에 피곤해졌다면, 환기의 개념으로 방문해보세요.
SJ
테이크아웃했기 때문에 매장 구조는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습니다만 전체적으로 아담하고 빈티지한 느낌의 핸드드립 전문 카페였어요. 커피 내리는 동안 자리에 앉아서 기다리라고 먼저 안내해주시고, 직접 구우신 머랭쿠키를 한 개씩 맛볼 수 있도록 무료로 내어주시기도 했습니다. 매우 친절하셨어요. 머랭쿠키는 복숭아향이 나서 특별하게 느껴졌고 구매욕을 자극했습키다. 원두 종류를 선택할 수 있었는데, 저는 과테말라 핸드드립을 선택했고 일행은 카푸치노를 주문했습니다. 커피 맛은 진하고 깔끔한 것 같아요. 저는 평소에 커피를 매우 좋아하는 편이라 만족했는데, 일행은 커피를 별로 좋아하지 않는 사람이라 그저 그랬다는 것 같습니다. 테이크아웃해서 한강공원 산책하기에 딱 좋은 위치에 있는 준수한 핸드드립 카페!
석슐랭
진하면서도 클린컵이 좋았던 융드립 한잔.
점점 귀해지는 숯불 로스팅의 맛을
느낄 수 있어 좋았어요.
깊으면서도 깔끔하게 딱 떨어지는 느낌.
복합적인 향미는 상대적으로 덜 느껴지는 편이라
호불호는 조금 갈리기도 하겠군요.
무심히 흘러나오던 라디오와도 잘 어울리는
잠시 시간이 멈춘 듯한 공간이었어요.
내부는 약 4-6인 수용가능해요.
사장님의 편안하면서도
유쾌한 접객도 좋았어요.
다음에는 옆에 분들이 맛있게 드시던
사장님께서 지방덩어리(?)라는
코코넛쉐이크(여름메뉴)도 먹어보고 싶어요.
망원 부근엔 융드립ㆍ강배전 맛집이 많네요.
커피하우스마이샤, 코페아신드롬도 추천!
미식의별
옛날이라고 다 같은 옛날이 아니고 60년대 70년대 80년대가 다르듯이, 옛날 커피라고 해서 다 같은 게 아닙니다. 피피커피는 옛날 커피 중에서도 좀 더 옛날 커피를 내는 곳이라고 할 수 있겠는데요. 숯불로 로스팅을 하고, 융드립으로 30g에서 50g에 이르는 대량의 원두를 사용합니다. 제 생각에는 좀 더 보편적으로 알려진 옛날 (일본식) 커피라고 하면 원두를 많이 쓴다고 해도 최대 35g 정도를 사용하지 않나 싶구요.(아시겠지만 요즘은 커피 한 잔에 원두 20g 내외를 사용하는 게 일반적이죠.)
진한맛(40g) Hot을 마셔보니 깔끔하면서 두툼한 바디감이 돋보이는데, 상대적으로 맛과 향은 좀 약하고 단조롭네요. 비슷한 레시피와 맛을 내는 곳으로 안국역의 ‘이태리 탁’이 생각나는데, 개인적으로 이태리 탁의 맛이 좀 더 마음에 듭니다.
융드립을 마시면 커피와 함께 직접 만든 빈투바 초콜릿을 조금 주시는데, 이 초콜릿도 맛이 괜찮긴 한데 조금 지나치게 단 것 같구요. 저 단 거 좋아하고 잘 먹는데, 전체적인 밸런스에 비해 단맛이 조금 과한 느낌이에요.
그런데 피크 그라인더에 머신은 슬레이어를 쓰시길래 에스프레소는 어떠려나 싶어 주문해 보니, 이건 커피가 거의 사발로 나오는데, 유감스럽게도 맛은 그냥 밍밍하네요. 슬레이어로 많은 곳에서 밍밍한 커피를 만들던 시절의 맛이 생각나는데, 그 맛의 옛날 커피 버전이랄까요. 융드립의 맛이 좋음 정도라면, 에스프레소는 별로네요.
개인적으로 재방문할 이유는 찾지 못했지만, 요즈음의 힙하고 모던한 인테리어와 친밀한 서비스로 무장한 매장들과 맛을 비교한다면, 대개의 경우는 피피의 (융드립) 맛에 손을 들어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