꾸꾸
내돈내산보다 회식으로 갈만한곳이긴한데ㅋㅋ
고기 넘 맛있었어요
육회는 솔직히 그냥 그랬어서 굳이..
zzzzzo!
양재역에 위치한 고급 고깃집 갈비사랑. 손님이나 가족모임에 좋아요.
가격이 비싼만큼 고기맛도 당연 좋고, 서비스도 좋고,인테리어도 넓고 쾌적해요. 이 집은 특히 기본반찬이 가짓수가 많고 맛있어요, 또 항상 서비스 반찬으로 육전이나 완자등을 주시는데 요리를 하나 더 시킨 느낌이에요.
권오찬
#양재동 #갈비사랑 #양념갈비
* 한줄평 : 한 상 가득 차려내는 가든식당 스타일
1. 오랫만에 장인 장모님을 모시고 강남의 고급 갈비집에서 <외식>을 했더랬다. 외식이란 ‘집이 아닌 밖에서 사먹는 식사’를 의미하지만, 음식에 관심있는 이라면 시대에 따라 그 단어에 담긴 의미와 메뉴는 각기 다르다는 걸 알 수 있다.
2. 우리는 노포의 기준을 흔히 30년으로 삼지만, 관념적으로 우리가 노포라 부르는 식당의 개업년도는 대부분 1980년대 이전이라 볼 수 있다.
현재 경제 소비의 주축인 X세대가 외식이라는 경험을 하기 이전 시대인 1950~1970년대 개업한 식당은 대부분 설렁탕과 해장국 등 <국밥집>인 경우가 대다수인데, 이는 조선의 탕반문화와 당시 어려웠던 경제상이 반영된 ’끼니형 외식‘이기 때문이다.
3. 1980년대 들어 정부의 경제개발 5개년 계획과 새마을 운동이 어느 정도 결실을 이뤄 개발도상국의 단계를 넘어 <중진국>의 반열에 접어들었고 ’My Car’ 시대가 열리며 이제 외식은 끼니형에서 <여가형>으로 변화하게 된다.
4. 이 시기 경제력을 갖춘 중산층 가정의 외식 문화를 상징하는 단어가 바로 <가든식당>이다. 삼겹살보다는 좀 더 고급스러운 갈빗대가 붙은 양념갈비에 각종 반찬이 화려하게 망라되어 집밥과 확연한 차이를 보였던 스타일의 식당인데, 대표적으로는 1976년 개업한 삼원가든 등이 있다.
5. 90년대 초반 개업한 것으로 알려진 양재동 갈비사랑 역시 비록 <정원>은 갖추지 못 했지만, 전형적인 가든형 식당의 상차림이다.
6. 5개층 건물을 단독으로 사용하고, 홀복을 갖춰입은 직원들이 직접 고기를 구어준다. 비트로 곱게. 색을 낸 동치미, 정갈하게 담아낸 갓김치와 갈비집에서는 빠질 수 없는 양녀게장 등 왠만한 고급 한정식 이상으로 훌륭한 반찬의 향연이다.
Brad Pitt
갈비 사랑이라고 이름 붙일만하네요. 갈비에 진심인게 느껴짐. 매장 입구에 양념장을 숙성하시더라구요.
생갈비 먹을 수 있는 곳이 흔치 않은데 생갈비를 판다는 것에서 일단 자신감. 갈비 양념이 맛있습니다. 자극적이지도 않고 적당히 은은한 단맛과 풍미. 물어보니 숙성 간장을 쓰시네요. 소금도 15년 간수 뺀 소금 쓰시는 걸 보니 음식에 진심인듯. 겉절이에도 숙성 간장 양념이 들어가는듯. 냉면도 괜춘. 된장은 소고기집 된장 치고는 고기가 안들어가서 약간 아쉽.
모아나
우대갈비가 있네요. 회식은 남의돈이라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