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나리전 때문에 다시 찾는 곳이지만 반찬만으로 이미 배에 막걸리를 채우게 되는 곳이다.
목이버섯의 맛이 진하며 탱글탱글 하면서 꼬들꼬들한 식감.
콩나물은 진한 고소함에 아삭아삭하다.
깍두기는 단단하지만 깔끔하면서도 새콤한 맛. 달지 않아 좋다.
■미나리전
미나리향은 진하지 않지만 양으로 압도한다.
반죽을 많이 쓰지 않아 결속력은 약하지만 부침가루의 바삭함으로 바스락 거린다.
미나리가 부드러운 것도 식감의 포인트.
그냥 먹어도 소금간으로 맛이 나며 간장에 찍어 먹는 것보다 미나리의 향을 더 느끼게 된다.
간장에는 식초가 들어가다보니 미나리전의 느끼함을 잡아준다. 먹는건 어느 방식이어도 좋다.
■묵사발
따뜻하게도 시원하게도 가능.
날씨가 아지 쌀쌀하니 따뜻하게 요청드린다.
국물은 고소하면서 김치로 새콤한 국물의 맛이 포인트.
묵은 젤리같이 부드러우며 따쓰하게 느껴진다.
맛은 뚜렸하지 않다가 뜨거운 맛이 가시니 진한 묵의 맛을 볼 수있다.
투명한반창고
청계산 등산후 옛골쪽으로 하산.
지난번에는 혼자라 김밥을 먹었지만 오늘은 친구가 있으니 국수집으로
■반찬
고소한 향이 올라오고 꼬들꼬들 씹히는 목이.
고추기름을 넣 끝맛이 매콤.
배추김치는 심심해서 국수랑 어울릴까 했는데 수제비가 간이 되서 잘 맞았다.
■부추전
밀기루를 많이 쓰지 않는 방식이라고 설명하시며그래서 눈꽃모양을 하고있다.
기름을 덜쓰면 전의 결속이 느슨해서 쉽게 풀리듯 부서지는데 먹기가 쉽고 기름기가 덜해 부추의 맛과 향이 진하다.
■들깨수제비
들깨가 있음에도 그 고소함에 묻히지 않고 멸치육수의 감칠맛이 풍부.
수제비는 미끌거리며 매끈한고 쫄깃한데 도토리가루를 넣었는지 색이 묵의 색을 닮아있다.
북어가 들어가며 건어물의 식감이 있으며 호박과 파의 맛을 충분히 볼 수있다.
■도토리묵
간장을 곁들이거나 야채를 섞는 두 가지 방식이 있으며 둘 중에 하나를 선택.
묵은 직접만든 모양인지 농도가 짙지 않으며 테두리가 가끔 쫄깃한게 섞여있다.
농도가 옅어 심심, 담백하지만 곁들어진 야채와 그 양념이 맛을 맞춰준다.
그렇다고 양념도 세지않지만.
김은 고소한 맛을 내지만 부각되지 않는다.
각각의 맛이 딱 좋다라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