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동하동
이게 뭉티기라는 거구나…. 뭉티기… 사실 이름만 들었을 뿐 잘 모르는 메뉴다. 육회와 육사시미가 소로 먹을 수 있는 날것의 전부라고 알고 있었지만, 뭉티기라는 음식이 엄청 새롭게 다가왔다. 사실 육사시미와 차이가 크게 없는 음식이다. 사용하는 부위도 비슷하고 맛도 육사시미의 맛과 동일하다. 하지만 큰 차이는 도축 시간과 양념장의 차이다. 도축한지 1일이 채 되기도 전에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소를 잡지 않는 날에는 뭉티기를 팔 수 없다. 그리고 무엇보다 뭉티기를 완성시켜주는 것은 뭉티기 특유의 양념장이다. 고추가루, 참기름, 다진마늘이 들어간 양념장은 쫀득한 뭉티기의 식감에 칼칼함과 감칠맛을 붙어주어 맛을 끌어올린다. 영통에 있는 뭉티기집이다. 대구에 가서 뭉티기를 먹어보고 싶지만, 그럴 수 없는 환경이라, 근처에 있는 곳을 찾아갔다. 뭉티기만 주문하려고 했지만, 다른 메뉴가 있길래 육회반 뭉티기반을 주문했다. 채썬 배를 가운데에 두고 육회와 뭉티기가 나뉘어져 나왔다. 그리고 그 특유의 양념장도 같이 나왔다. 양념장을 잘 섞고 뭉티기에 올려서 먹는데, 쫀득하다. 간혹 육사시미를 먹을 때, 좀 시간이 오래 되었던가 아니면 너무 얇아서 그런가 약간 퍼석한 식감이 있었는데, 확실히 잡은지 얼마 안된 소에서 얻은 부위고 두텁게 썰어서 그런지 쫀득한 느낌이 강했다. 그리고 양념장과 정말 잘 어울렸다. 그러나 쫀득함은 있으나, 찰기는 조금 약했다. 내가 바란 식감은 쫀득함 그리고 약간의 질김인데 그냥 이빨로 바로 끊을 수 있었다. 처음 마주한 뭉티기라 그런지 기대가 컸지만, 어느 정도 내 기대에 부합하는 맛이었다. 그리고 추가로 곱창전골을 주문했는데… 양배추가 들어가 있었다. 신기했다. 그리고 곱창과 대창이 마구 들어있어 먹었는데, 익숙하다. 이건…. 라면이다. 아니 전골에서 라면맛이 느껴진다. 아주 진하다. 다음에 오거든 그냥 뭉티기만 먹어야 할거 같다. 육회 말고도 육사시미가 있지만, 그 두개에 대해 질린 감이 있다면 뭉티기도 좋은 선택이라고 생각한다. 이왕이면 대구에 가서 먹는게 좋지만, 그렇지 못할 때는 근처에서 뭉티기를 먹는 방법도 좋은 거 같다. 반반세트(뭉티기+육회) - 52,000 곱창전골 - 39,000 라면사리 - 1,000